세상의 끝에서 미래를 열어갑니다.
극지안전훈련
i전반기는 북극지역 연구참여자 우선 배정
i위탁기관인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법에 의거, 해양수산인력의 교육·기술훈련을 목적으로 설립된 공공기관으로서 응급처치, 소방, 해상, 헬기 등 국제규격에 부합하는 전문 훈련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해양환경교육원은 법정 유류오염방제훈련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
국제인증훈련인 해상생존훈련, 기초안전훈련, 소화심화훈련은 해양수산연수원에서 이수증 별도 발행 제공
참고 사진 | 교육·훈련 과목 | 대상 | 장소 |
---|---|---|---|
![]() |
극지일반교육(2시간)
|
하계대 | 극지 연구소 |
![]() |
육상안전훈련(4시간)
|
하계대 월동대 |
한국해양수산 연구원/ 극지연구소 |
![]() |
기초안전훈련(8시간)
|
하계대 월동대 |
한국해양수산연수원 |
![]() |
해상생존훈련(8시간)
|
하계대 | |
![]() |
소화심화훈련(8시간)
|
월동대 | |
![]() |
유류방제교육(4시간)
|
월동대 | 해양환경교육원 |
![]() |
소양교육(1박2일)
i당해연도 현안을 반영하여 별도계획으로 실시 |
월동대 | 추후 별도 선정 |
훈련 대상자 구분 | 극지일반 교육 | 육상안전 훈련 | 기초안전 훈련 | 해상생존 훈련 | 소화심화 훈련 | 유류오염 방제 | 월동대 소양교육 (1박2일) |
---|---|---|---|---|---|---|---|
극지 육상지역 및 남‧북극과학기지에 체류하며 연구현장에서 관련 활동하는 자 | ○ | ○ | ○ | △ | X | X | X |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에 승선하여 연구현장에서 관련 활동하는 자 | ○ | X | ○ | ○ | X | X | X |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로 선발되어 기지로 파견되는 모든 대원 | ○ | ○ | ○ | ○ | ○ | ○ | ○ |
* ○ 필수이수, △ 보트를 이용한 연구 활동 시 이수, X 해당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