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쇄빙연구선 소개

세상의 끝에서 미래를 열어갑니다.

아라온호

연구와 보급지원 항해로 남북극을 누비다

  • 쇄빙연구선아라온호 이미지1 쇄빙연구선아라온호 이미지1
  • 쇄빙연구선아라온호 이미지2 쇄빙연구선아라온호 이미지2
  • 쇄빙연구선아라온호 이미지3 쇄빙연구선아라온호 이미지3
  • 쇄빙연구선아라온호 이미지4 쇄빙연구선아라온호 이미지4

건조기간2004년 ~ 2010년

총건조비1,080억원

  • 환경조건

    최고기온 : 50℃, 최저기온 : -30℃

    최고수온 : 35℃, 최저수온 : -2℃

  • 주요임무

    남·북극 결빙해역에서의 독자적인 극지연구 수행

    남·북극 기지에 대한 보급 및 인원 수송

  • 주요연구분야

    극지 환경변화 모니터링 / 대기환경 및 오존층 연구 / 고해양 및 고기후 연구 /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 지질환경 및 자원특성 연구

쇄빙선이란?

쇄빙선이란 한자로 '부술 쇄(碎)', '얼음 빙(氷)', '배 선(船)'
즉, 말 그대로 '얼음을 깨는 배'로 남극해와 북극해처럼 얼어있는 바다에서도 독자적인 항해가 가능한 선박을 말한다. 따라서 극지를 포함한 결빙지역을 자력으로 항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선박이 항해할 수 없는 결빙지역에서 항로를 개척해 줌으로써 화물수송이 가능하도록 돕거나 운항하던 선박이 얼음에 갇힐 경우 이를 구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특징

아라온호는 1미터 평탄빙을 3노트로 항해가 가능한 성능으로 건조되어 남북극 결빙지역에서의 독자적인 항해 뿐 아니라 다른 선박을 위해 항로를 개척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일반 선박에 비해 쇄빙하는 선수부 또는 선미부의 폭이 넓은 것이 특징이다. 아라온호는 얼음을 깨고 전진해야 하므로 일반선박에 비해 구조적으로 튼튼하며 엔진출력이 대단히 크고 얼음을 쉽게 깰 수 있도록 선형의 돌출부가 없는 경사진 선수형상을 하고 있으며, 얼음에 부딪쳐도 안전하도록 선체의 외벽이 매우 두꺼운 저온용 특수 철판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저온 및 쇄빙 충격에서 선체 외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빙도료를 시공한다.
쇄빙선은 빙판 위에 올라가 선체 중량을 이용하여 빙판을 깨뜨리는 원리임으로, 아라온호가 쇄빙 중 선체가 완전히 해빙 위에 올라가 내려오지 못해 해빙에 갇힐 우려가 있으므로 선체가 빙판 위로 완전히 올라설 수 없도록 아이스 나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서진 얼음조각들이 다시 선체에 접근해 부딪치지 않도록 360도 회전이 가능한 추진기가 설치되어 있다.

아라온호에는 51종의 연구장비가 설치되어 있어 극지 환경변화 모니터링 / 대기환경 및 오존층 연구 / 고해양 및 고기후 연구 /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 지질환경 및 자원특성 연구 등 다양한 연구활동 지원이 가능하고, 정밀한 연구활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자동위치유지 장치(DP)가 설비되어 있으며, 해빙위에서의 연구활동 지원 및 결빙지역의 안전항해를 위한 항로 확보용인 헬기를 운용 할 수 있도록 헬기장 및 보관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남극 과학기지의 보급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31 TEU 적재가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최대 25톤 및 10톤, 3톤의 용량의 크레인이 설비되어 있다.

쉽게 보는 아라온호 INFORMATION GRAPHICS

최대 항속거리

17,000 해리

물자보급 없이 지구 한 바퀴를 돌 수 있음

승선인원

85

승무원 25명 / 연구원 60명

쇄빙능력

KR PL-10 극지운항온도 -30℃

1m두께의 평탄빙을 시속 3노트로 쇄빙

컨테이너 적재량

20피트 컨테이너 31TEU(개)

TEU는 화물창 내 적재가능. 조사 관측기기 및 부품 등적 재공간 마련